맨위로가기

영원군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영원군은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으로 신설된 대한민국의 군으로, 현재 영원면, 대흥면, 덕화면, 성룡면, 소백면, 신성면, 영락면, 온화면, 태극면 등 여러 면과 리로 구성되어 있다. 각 면은 여러 개의 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리의 행정 구역 정보가 상세히 나열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평안남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평안남도 (대한민국)
    평안남도는 1896년 평안도에서 분리되어 대한민국이 이북5도위원회를 통해 명목상 행정 체계를 유지하는 도이며, 도청 소재지는 평양시이고 16개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 평안남도의 행정 구역 (대한민국) - 안주군 (대한민국)
    안주군은 일제강점기 및 해방 이후 대한민국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 단위로, 여러 면과 읍으로 구성되었으며 대니면, 동면, 신안주면, 연호면, 용화면, 운곡면, 입석면, 안주읍 등이 속해 있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광역 행정 구역 - 노원구
    노원구는 서울특별시 북동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주변 도시와 접하며 갈대밭 또는 여관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불리고, 수락산, 불암산 등의 자연환경과 여러 전철 노선 및 교육기관이 위치해 있다.
영원군 (대한민국)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국가대한민국
평안남도
군수이향숙
지방 관청이북5도위원회
행정 구역
9
면적
총 면적1,224 km²
기타
시간대한국 표준시 (UTC+09:00)

2. 행정 구역

영원군은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으로 신설되었으며, 여러 개의 면과 리로 구성되어 있다.

리 숫자리(里)
영원면17영녕(永寧), 신율(新栗), 기대(箕垈), 신(新), 대룡(大龍), 덕암(德巖), 성장(城壯), 방산(方山), 남산(南山), 임탄(荏灘), 봉덕(鳳德), 도평(都坪), 문곡(文谷), 마상(馬上), 직(直), 마근담(麻槿潭), 석막(石幕)
대흥면11사창(社倉), 인처(仁處), 용암(龍巖), 입석(立石), 복녕(福寧), 흑수(黑水), 중흥(中興), 덕(德), 광통(廣通), 용수(龍水), 월평(月坪)
덕화면6교관(敎館), 중흥(中興), 성(城), 횡천(橫川), 신흥(新興), 신덕(新德)
성룡면7구창(舊倉), 평대(坪垈), 길대(吉垈), 청막(淸幕), 장산(長山), 성진(城眞), 만평(萬坪)
소백면8와룡(臥龍), 동향(東香), 직(直), 경수(鯨水), 사양(士養), 상남(上南), 신덕(新德), 감덕(甘德)
신성면13창의(昌義), 길현(吉峴), 동창(東昌), 장임(壯壬), 대흥(大興), 여운(如雲), 신안(新安), 신흥(新興), 구억(舊億), 진작(陳作), 도흥(都興), 문흥(文興), 하삼(下三)
영락면13중흥(中興), 신흥(新興), 낙포(樂浦), 송평(松坪), 낙창(樂倉), 태평(泰平), 삼포(三浦), 용삼(龍三), 산막(山幕), 창(倉), 문암(門巖), 양성(陽城), 초대(草大)
온화면5온양(溫陽), 회양(回陽), 신답(新沓), 용덕(龍德), 수하(水下)
태극면6태극(太極), 영창(永昌), 화순(和順), 송산(松山), 율지(栗枝), 풍전(豊田)


2. 1. 영원면 (寧遠面)

영원면(寧遠面)은 영원군의 면 중 하나로, 아래 표와 같이 17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다.

리 숫자리(里)
17영녕(永寧), 신율(新栗), 기대(箕垈), 신(新), 대룡(大龍), 덕암(德巖), 성장(城壯), 방산(方山), 남산(南山), 임탄(荏灘), 봉덕(鳳德), 도평(都坪), 문곡(文谷), 마상(馬上), 직(直), 마근담(麻槿潭), 석막(石幕)


2. 1. 1. 영녕리 (永寧里)

영원면에는 17개의 리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영녕리이다. 영녕리 외에도 신율(新栗), 기대(箕垈), 신(新), 대룡(大龍), 덕암(德巖), 성장(城壯), 방산(方山), 남산(南山), 임탄(荏灘), 봉덕(鳳德), 도평(都坪), 문곡(文谷), 마상(馬上), 직(直), 마근담(麻槿潭), 석막(石幕)리가 있다.

2. 1. 2. 신율리 (新栗里)

영원면에는 17개의 리가 있는데, 신율리는 그 중 하나이다.

2. 1. 3. 기대리 (箕垈里)

영원면(寧遠面)에 속하며, 영녕(永寧)·신율(新栗)·기대(箕垈)·신(新)·대룡(大龍)·덕암(德巖)·성장(城壯)·방산(方山)·남산(南山)·임탄(荏灘)·봉덕(鳳德)·도평(都坪)·문곡(文谷)·마상(馬上)·직(直)·마근담(麻槿潭)·석막(石幕)의 17개 리(里) 중 하나이다.

2. 1. 4. 신리 (新里)

영원면에는 신리(新里)가 있다.

2. 1. 5. 대룡리 (大龍里)

영원면에는 17개의 리(里)가 있는데, 대룡리(大龍里)는 그 중 하나이다. 영원면의 다른 리로는 영녕(永寧), 신율(新栗), 기대(箕垈), 신(新), 덕암(德巖), 성장(城壯), 방산(方山), 남산(南山), 임탄(荏灘), 봉덕(鳳德), 도평(都坪), 문곡(文谷), 마상(馬上), 직(直), 마근담(麻槿潭), 석막(石幕)이 있다.

2. 1. 6. 덕암리 (德巖里)

영원면(寧遠面)에 속하며, 영녕(永寧)·신율(新栗)·기대(箕垈)·신(新)·대룡(大龍)·덕암(德巖)·성장(城壯)·방산(方山)·남산(南山)·임탄(荏灘)·봉덕(鳳德)·도평(都坪)·문곡(文谷)·마상(馬上)·(直)·마근담(麻槿潭)·석막(石幕) 등 17개 리(里) 중 하나이다.

2. 1. 7. 성장리 (城壯里)

영원면(寧遠面)의 17개 리 중 하나이다.

리 숫자리(里)
영원면17영녕(永寧) 신율(新栗) 기대(箕垈) 신(新) 대룡(大龍) 덕암(德巖)


2. 1. 8. 방산리 (方山里)

영원면의 리는 17개이며, 영녕, 신율, 기대, 신, 대룡, 덕암, 성장, 방산, 남산, 임탄, 봉덕, 도평, 문곡, 마상, 직, 마근담, 석막이 있다.

리 숫자리(里)
영원면(寧遠面)17영녕리(永寧里), 신율리(新栗里), 기대리(箕垈里), 신리(新里), 대룡리(大龍里), 덕암리(德巖里), 성장리(城壯里), 방산리(方山里), 남산리(南山里), 임탄리(荏灘里), 봉덕리(鳳德里), 도평리(都坪里), 문곡리(文谷里), 마상리(馬上里), 직리(直里), 마근담리(麻槿潭里), 석막리(石幕里)


2. 1. 9. 남산리 (南山里)

영원면(寧遠面)에 속하며, 영녕(永寧), 신율(新栗), 기대(箕垈), 신(新), 대룡(大龍), 덕암(德巖), 성장(城壯), 방산(方山), 남산(南山), 임탄(荏灘), 봉덕(鳳德), 도평(都坪), 문곡(文谷), 마상(馬上), 직(直), 마근담(麻槿潭), 석막(石幕)의 17개 리(里) 중 하나이다.

2. 1. 10. 임탄리 (荏灘里)

영원면(寧遠面)에는 17개의 리(里)가 있는데, 임탄리(荏灘里)는 그 중 하나이다.

리 숫자리(里)
영원면(寧遠面)17영녕(永寧), 신율(新栗), 기대(箕垈), 신(新), 대룡(大龍), 덕암(德巖), 성장(城壯), 방산(方山), 남산(南山), 임탄(荏灘), 봉덕(鳳德), 도평(都坪), 문곡(文谷), 마상(馬上), 직(直), 마근담(麻槿潭), 석막(石幕)


2. 1. 11. 봉덕리 (鳳德里)

영원면(寧遠面)에 속하며, 영녕(永寧), 신율(新栗), 기대(箕垈), 신(新), 대룡(大龍), 덕암(德巖), 성장(城壯), 방산(方山), 남산(南山), 임탄(荏灘), 봉덕(鳳德), 도평(都坪), 문곡(文谷), 마상(馬上), 직(直), 마근담(麻槿潭), 석막(石幕) 등 17개 리(里) 중 하나이다.

2. 1. 12. 도평리 (都坪里)

영원면(寧遠面)에는 17개의 리(里)가 있는데, 도평리(都坪里)는 그 중 하나이다.

리 숫자리(里)
영원면(寧遠面)17영녕 (永寧), 신율(新栗), 기대(箕垈), 신(新), 대룡(大龍), 덕암(德巖), 성장(城壯), 방산(方山), 남산(南山), 임탄(荏灘), 봉덕(鳳德), 도평(都坪), 문곡(文谷), 마상(馬上), 직(直), 마근담(麻槿潭), 석막(石幕)


2. 1. 13. 문곡리 (文谷里)

영원면(寧遠面)에는 영녕(永寧), 신율(新栗), 기대(箕垈), 신(新), 대룡(大龍), 덕암(德巖), 성장(城壯), 방산(方山), 남산(南山), 임탄(荏灘), 봉덕(鳳德), 도평(都坪), 문곡(文谷), 마상(馬上), 직(直), 마근담(麻槿潭), 석막(石幕)이 있다.

2. 1. 14. 마상리 (馬上里)

영원면(寧遠面)에 속하며, 영녕(永寧), 신율(新栗), 기대(箕垈), 신(新), 대룡(大龍), 덕암(德巖), 성장(城壯), 방산(方山), 남산(南山), 임탄(荏灘), 봉덕(鳳德), 도평(都坪), 문곡(文谷), 마상(馬上), 직(直), 마근담(麻槿潭), 석막(石幕)의 17개 리(里) 중 하나이다.

2. 1. 15. 직리 (直里)

직(直)리는 소백면에 속해있다.

2. 1. 16. 마근담리 (麻槿潭里)

영원면(寧遠面)에 속하며, 영녕(永寧), 신율(新栗), 기대(箕垈), 신(新), 대룡(大龍), 덕암(德巖), 성장(城壯), 방산(方山), 남산(南山), 임탄(荏灘), 봉덕(鳳德), 도평(都坪), 문곡(文谷), 마상(馬上), 직(直), 마근담(麻槿潭), 석막(石幕) 등 17개 리(里) 중 하나이다.

2. 1. 17. 석막리 (石幕里)

영원면(寧遠面)에 속하며, 영녕, 신율, 기대, 신, 대룡, 덕암, 성장, 방산, 남산, 임탄, 봉덕, 도평, 문곡, 마상, 직, 마근담과 함께 17개 리(里) 중 하나이다.

2. 2. 대흥면 (大興面)

영원군 대흥면(大興面)은 사창(社倉), 인처(仁處), 용암(龍巖), 입석(立石), 복녕(福寧), 흑수(黑水), 중흥(中興), 덕(德), 광통(廣通), 용수(龍水), 월평(月坪) 등 11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2. 2. 1. 사창리 (社倉里)

영원군 대흥면(大興面)의 리이다. 대흥면에는 사창(社倉), 인처(仁處), 용암(龍巖), 입석(立石), 복녕(福寧), 흑수(黑水), 중흥(中興), 덕(德), 광통(廣通), 용수(龍水), 월평(月坪)이 있다.

2. 2. 2. 인처리 (仁處里)

대흥면에 속해 있었으며, 인처(仁處)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2. 2. 3. 용암리 (龍巖里)

용암리(龍巖里)는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폐합 이전에는 대흥면(大興面)에 속했다.

1914년 당시 영원군의 면과 리
대흥면(大興面)사창(社倉), 인처(仁處), 용암(龍巖), 입석(立石), 복녕(福寧), 흑수(黑水), 중흥(中興), 덕(德), 광통(廣通), 용수(龍水), 월평(月坪)


2. 2. 4. 입석리 (立石里)

영원군 대흥면에 속해 있었던 리이다.

2. 2. 5. 복녕리 (福寧里)

영원군 대흥면에 속해 있었으며, 복녕(福寧)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2. 2. 6. 흑수리 (黑水里)

영원군 대흥면(大興面)에 속한 리(里)이다. 흑수리(黑水里)는 대흥면에 속해 있으며, 대흥면에는 사창리, 인처리, 용암리, 입석리, 복녕리, 흑수리, 중흥리, 덕리, 광통리, 용수리, 월평리가 있다.

2. 2. 7. 중흥리 (中興里)

영원군에는 대흥면, 덕화면, 영락면에 각각 중흥리(中興里)가 있었다.

면 이름리 이름
대흥면(大興面)중흥리(中興里)
덕화면(德化面)중흥리(中興里)
영락면(永樂面)중흥리(中興里)


2. 2. 8. 덕리 (德里)

'''덕리'''(德里)는 영원군 대흥면에 위치한 리이다.

리 숫자리(里)
11사창 (社倉), 인처 (仁處), 용암 (龍巖), 입석 (立石), 복녕 (福寧), 흑수 (黑水), 중흥 (中興), 덕 (德), 광통 (廣通), 용수 (龍水), 월평 (月坪)


2. 2. 9. 광통리 (廣通里)

영원군 대흥면에 속해있는 리(里) 중 하나이다.

2. 2. 10. 용수리 (龍水里)

영원군 대흥면(大興面)에 속했던 리(里)이다. 대흥면에는 용수리(龍水里) 외에도 사창(社倉), 인처(仁處), 용암(龍巖), 입석(立石), 복녕(福寧), 흑수(黑水), 중흥(中興), 덕(德), 광통(廣通), 월평(月坪)이 있었다.

2. 2. 11. 월평리 (月坪里)

영원군 대흥면에는 사창(社倉), 인처(仁處), 용암(龍巖), 입석(立石), 복녕(福寧), 흑수(黑水), 중흥(中興), 덕(德), 광통(廣通), 용수(龍水), 월평(月坪) 등 11개 리가 있었다.

2. 3. 덕화면 (德化面)

덕화면은 교관, 중흥, 성, 횡천, 신흥, 신덕의 6개 로 구성되어 있었다.

2. 3. 1. 교관리 (敎館里)

덕화면에 속해있는 리(里)이다. 교관리(敎館里)에는 교관(敎館)이 있었다.

2. 3. 2. 중흥리 (中興里)

영원군에는 대흥면, 덕화면, 영락면에 중흥리(中興里)가 있었다.

  • 대흥면 중흥리는 흑수(黑水), 덕(德), 광통(廣通), 용수(龍水), 월평(月坪) 등과 함께 대흥면의 11개 리 중 하나였다.
  • 덕화면 중흥리는 성(城), 횡천(橫川), 신흥(新興), 신덕(新德) 등과 함께 덕화면의 6개 리 중 하나였다.
  • 영락면 중흥리는 신흥(新興), 낙포(樂浦), 송평(松坪), 낙창(樂倉), 태평(泰平) 등과 함께 영락면의 13개 리 중 하나였다.

2. 3. 3. 성리 (城里)

영원군에는 성리(城里)라는 이름의 법정리가 존재하지 않고, 덕화면에 성리(城里)가 있다. 덕화면의 법정리는 다음과 같다.

리(里)
교관(敎館)
중흥(中興)
성(城)
횡천(橫川)
신흥(新興)
신덕(新德)


2. 3. 4. 횡천리 (橫川里)

영원군 덕화면에는 교관(敎館), 중흥(中興), 성(城), 횡천(橫川), 신흥(新興), 신덕(新德)리가 있었다.

2. 3. 5. 신흥리 (新興里)

영원군 내 덕화면과 신성면, 영락면에 신흥리(新興里)가 있었다.

2. 3. 6. 신덕리 (新德里)

영원군에는 덕화면과 소백면에 신덕리(新德)라는 동음이의 행정구역이 있었다.

  • 덕화면 신덕(新德)
  • 소백면 신덕(新德)

2. 4. 성룡면 (成龍面)

성룡면은 7개의 리(里)로 구성되어 있었다.

리(里)
구창 (舊倉), 평대 (坪垈), 길대 (吉垈), 청막 (淸幕), 장산 (長山), 성진 (城眞), 만평 (萬坪)


2. 4. 1. 구창리 (舊倉里)

성룡면에 속해 있었던 리(里)이다.

리 숫자리(里)
성룡면7구창(舊倉), 평대(坪垈), 길대(吉垈), 청막(淸幕), 장산(長山), 성진(城眞)
만평(萬坪)


2. 4. 2. 평대리 (坪垈里)

성룡면의 법정리 중 하나이다.

리(里) 숫자리(里)
7구창 (舊倉), 평대 (坪垈), 길대 (吉垈), 청막 (淸幕), 장산 (長山), 성진 (城眞), 만평 (萬坪)


2. 4. 3. 길대리 (吉垈里)

성룡면에 속해 있는 리이다.

리(里)
길대(吉垈)


2. 4. 4. 청막리 (淸幕里)

성룡면에 속해 있었으며, 구창(舊倉), 평대(坪垈), 길대(吉垈), 청막(淸幕), 장산(長山), 성진(城眞), 만평(萬坪) 7개 리가 있었다.

2. 4. 5. 장산리 (長山里)

성룡면의 법정리 중 하나이다.

리 숫자리(里)
성룡면7구창(舊倉), 평대(坪垈), 길대(吉垈), 청막(淸幕), 장산(長山), 성진(城眞), 만평(萬坪)


2. 4. 6. 성진리 (城眞里)

성룡면의 하위 행정 구역 중 하나이다. 성룡면에는 구창(舊倉), 평대(坪垈), 길대(吉垈), 청막(淸幕), 장산(長山), 성진(城眞), 만평(萬坪) 등 7개의 리가 있다.

2. 4. 7. 만평리 (萬坪里)

성룡면에 속해 있었던 리(里) 중 하나이다.

2. 5. 소백면 (小白面)

영원군 소백면은 8개의 로 구성되어 있다.

리 숫자리(里)
소백면8와룡(臥龍), 동향(東香), 직(直), 경수(鯨水), 사양(士養), 상남(上南), 신덕(新德), 감덕(甘德)


2. 5. 1. 와룡리 (臥龍里)

영원군 소백면의 법정리 중 하나이다.

리 숫자리(里)
소백면8와룡(臥龍), 동향(東香), 직(直), 경수(鯨水), 사양(士養), 상남(上南), 신덕(新德), 감덕(甘德)


2. 5. 2. 동향리 (東香里)

소백면 동향리는 본래 평안남도 영원군 소백면 지역이었다.

2. 5. 3. 직리 (直里)

영원면과 소백면에는 직(直)리가 있었다.

2. 5. 4. 경수리 (鯨水里)

소백면에는 와룡, 동향, 직, 경수(鯨水), 사양, 상남, 신덕, 감덕리가 있었다.

2. 5. 5. 사양리 (士養里)

소백면에는 사양(士養)리가 있었다.

2. 5. 6. 상남리 (上南里)

소백면에 속하는 이다. 소백면의 리 목록은 다음과 같다.

리 숫자리(里)
8와룡, 동향, 직, 경수, 사양, 상남, 신덕, 감덕


2. 5. 7. 신덕리 (新德里)

영원군에는 덕화면과 소백면에 신덕리(新德)라는 이름을 가진 동음이의의 리가 존재한다.

  • 덕화면 신덕(新德)
  • 소백면 신덕(新德)

2. 5. 8. 감덕리 (甘德里)

소백면에는 와룡, 동향, 직, 경수, 사양, 상남, 신덕, 감덕이 있다.

2. 6. 신성면 (新城面)

신성면은 창의(昌義), 길현(吉峴), 동창(東昌), 장임(壯壬), 대흥(大興), 여운(如雲), 신안(新安), 신흥(新興), 구억(舊億), 진작(陳作), 도흥(都興), 문흥(文興), 하삼(下三) 등 13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2. 6. 1. 창의리 (昌義里)

영원군 신성면(新城面)에는 창의(昌義), 길현(吉峴), 동창(東昌), 장임(壯壬), 대흥(大興), 여운(如雲), 신안(新安), 신흥(新興), 구억(舊億), 진작(陳作), 도흥(都興), 문흥(文興), 하삼(下三) 등 13개의 리가 있으며, 창의리는 이 중 하나이다.

2. 6. 2. 길현리 (吉峴里)

신성면에 속해 있었으며, 길현(吉峴)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2. 6. 3. 동창리 (東昌里)

영원군 신성면의 법정리 중 하나이다.

2. 6. 4. 장임리 (壯壬里)

신성면 소속으로, 장임(壯壬)이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다.

2. 6. 5. 대흥리 (大興里)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신성면(新城面)에 속했다. 당시 신성면에는 창의(昌義), 길현(吉峴), 동창(東昌), 장임(壯壬), 대흥(大興), 여운(如雲), 신안(新安), 신흥(新興), 구억(舊億), 진작(陳作), 도흥(都興), 문흥(文興), 하삼(下三) 리가 있었다.

2. 6. 6. 여운리 (如雲里)

신성면(新城面)에는 창의리(昌義里), 길현리(吉峴里), 동창리(東昌里), 장임리(壯壬里), 대흥리(大興里), 여운리(如雲里), 신안리(新安里), 신흥리(新興里), 구억리(舊億里), 진작리(陳作里), 도흥리(都興里), 문흥리(文興里), 하삼리(下三里)가 있었다.

2. 6. 7. 신안리 (新安里)

신성면(新城面)에는 창의(昌義), 길현(吉峴), 동창(東昌), 장임(壯壬), 대흥(大興), 여운(如雲), 신안(新安), 신흥(新興), 구억(舊億), 진작(陳作), 도흥(都興), 문흥(文興), 하삼(下三) 리가 있었다.

2. 6. 8. 신흥리 (新興里)

영원군 내에는 덕화면(德化面), 신성면(新城面), 영락면(永樂面)에 신흥리(新興里)라는 이름의 동명이의 행정구역이 있었다.

면 이름리 이름
덕화면(德化面)신흥(新興)
신성면(新城面)신흥(新興)
영락면(永樂面)신흥(新興)


2. 6. 9. 구억리 (舊億里)

신성면(新城面)에 속해 있었으며, 진작(陳作), 도흥(都興), 문흥(文興), 하삼(下三) 등의 마을과 함께 구억(舊億) 마을이 있었다.

2. 6. 10. 진작리 (陳作里)

진작(陳作)은 신성면에 속해 있었다.

2. 6. 11. 도흥리 (都興里)

신성면(新城面) 소속으로, 창의(昌義)·길현(吉峴)·동창(東昌)·장임(壯壬)·대흥(大興)·여운(如雲)·신안(新安)·신흥(新興)·구억(舊億)·진작(陳作)·도흥(都興)·문흥(文興)·하삼(下三) 등 13개 리가 있었다.

2. 6. 12. 문흥리 (文興里)

신성면(新城面)의 하위 행정구역 중 하나로, 창의(昌義), 길현(吉峴), 동창(東昌), 장임(壯壬), 대흥(大興), 여운(如雲), 신안(新安), 신흥(新興), 구억(舊億), 진작(陳作), 도흥(都興), 문흥(文興), 하삼(下三) 등 13개 리 중 하나였다.

2. 6. 13. 하삼리 (下三里)

신성면(新城面)에는 하삼(下三), 창의(昌義), 길현(吉峴), 동창(東昌), 장임(壯壬), 대흥(大興), 여운(如雲), 신안(新安), 신흥(新興), 구억(舊億), 진작(陳作), 도흥(都興), 문흥(文興) 등 13개 리가 있었다.

2. 7. 영락면 (永樂面)

영락면은 13개의 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리(里)
중흥(中興), 신흥(新興), 낙포(樂浦), 송평(松坪), 낙창(樂倉), 태평(泰平), 삼포(三浦), 용삼(龍三), 산막(山幕), 창(倉), 문암(門巖), 양성(陽城), 초대(草大)


2. 7. 1. 중흥리 (中興里)

영원군에는 대흥면, 덕화면, 영락면에 각각 중흥리(中興里)가 있었다. 대흥면 중흥리는 현재의 평안북도 향산군에 속하며, 덕화면과 영락면의 중흥리는 현재의 평안북도 운산군에 속한다.

대흥면중흥(中興)
덕화면중흥(中興)
영락면중흥(中興)


2. 7. 2. 신흥리 (新興里)

영원군 내 면(面)과 리(里) 숫자를 정리한 표에서 덕화면(德化面)에 속해 있었다.

리 숫자리(里)
덕화면(德化面)6교관(敎館), 중흥(中興), 성(城), 횡천(橫川), 신흥(新興), 신덕(新德)


2. 7. 3. 낙포리 (樂浦里)

영락면의 법정리 중 하나이다. 영락면에는 중흥(中興), 신흥(新興), 낙포(樂浦), 송평(松坪), 낙창(樂倉), 태평(泰平), 삼포(三浦), 용삼(龍三), 산막(山幕), 창(倉), 문암(門巖), 양성(陽城), 초대(草大) 리가 있다.

2. 7. 4. 송평리 (松坪里)

영락면에 속해 있었으며, 송평리(松坪里)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었다.

2. 7. 5. 낙창리 (樂倉里)

영락면(永樂面)에 속하며 중흥(中興), 신흥(新興), 낙포(樂浦), 송평(松坪), 낙창(樂倉), 태평(泰平), 삼포(三浦), 용삼(龍三), 산막(山幕), 창(倉), 문암(門巖), 양성(陽城), 초대(草大) 등 13개 리(里) 중 하나이다.

2. 7. 6. 태평리 (泰平里)

영락면의 법정리 중 하나이다.

2. 7. 7. 삼포리 (三浦里)

영원면에 속해 있었다. 영락면에는 중흥(中興), 신흥(新興), 낙포(樂浦), 송평(松坪), 낙창(樂倉), 태평(泰平), 삼포(三浦), 용삼(龍三), 산막(山幕), 창(倉), 문암(門巖), 양성(陽城), 초대(草大)리가 있었다.

2. 7. 8. 용삼리 (龍三里)

영락면(永樂面)에 속하며, 삼포(三浦), 용삼(龍三), 산막(山幕) 등의 자연 마을을 관할한다.

2. 7. 9. 산막리 (山幕里)

영원군 영락면(永樂面)에는 산막(山幕)리가 있었다.

2. 7. 10. 창리 (倉里)

영락면에 속하는 리(里) 중 하나로, '창'(倉)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2. 7. 11. 문암리 (門巖里)

영원면에 속해 있는 리(里) 중 하나이다. 영락면에는 문암리 외에도 중흥, 신흥, 낙포, 송평, 낙창, 태평, 삼포, 용삼, 산막, 창, 양성, 초대리가 있다.

2. 7. 12. 양성리 (陽城里)

영락면(永樂面)에는 중흥리(中興里), 신흥리(新興里), 낙포리(樂浦里), 송평리(松坪里), 낙창리(樂倉里), 태평리(泰平里), 삼포리(三浦里), 용삼리(龍三里), 산막리(山幕里), 창리(倉里), 문암리(門巖里), 양성리(陽城里), 초대리(草大里)가 있었다.

2. 7. 13. 초대리 (草大里)

영락면(永樂面)에 속해 있었다.

2. 8. 온화면 (溫和面)

온화면은 온양(溫陽), 회양(回陽), 신답(新沓), 용덕(龍德), 수하(水下)의 5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리(里)
온양(溫陽)
회양(回陽)
신답(新沓)
용덕(龍德)
수하(水下)


2. 8. 1. 온양리 (溫陽里)

는 조선 시대 영원군의 온화면에 속해 있었다. 온화면에는 온양(溫陽), 회양(回陽), 신답(新沓), 용덕(龍德), 수하(水下)리가 있었다.

2. 8. 2. 회양리 (回陽里)

回陽|회양중국어영원군 온화면에 속한 리이다.

2. 8. 3. 신답리 (新沓里)

영원군 온화면에는 온양리, 회양리, 신답리, 용덕리, 수하리가 있었다.

2. 8. 4. 용덕리 (龍德里)

온화면에는 회양(回陽), 신답(新沓), 용덕(龍德), 수하(水下)의 4개 리가 있었다.

2. 8. 5. 수하리 (水下里)

水下里중국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안남도 영원군 온화면에 속해 있는 리이다.

2. 9. 태극면 (太極面)

태극면은 태극(太極), 영창(永昌), 화순(和順), 송산(松山), 율지(栗枝), 풍전(豊田)의 6개 리로 구성되어 있다.

태극면의 리
리(里)
태극(太極)
영창(永昌)
화순(和順)
송산(松山)
율지(栗枝)
풍전(豊田)


2. 9. 1. 태극리 (太極里)

태극면에는 태극(太極), 영창(永昌), 화순(和順), 송산(松山), 율지(栗枝), 풍전(豊田)의 6개 리가 있다.

2. 9. 2. 영창리 (永昌里)

태극면에는 영창(永昌), 화순(和順), 송산(松山), 율지(栗枝), 풍전(豊田)리가 있었다.

2. 9. 3. 화순리 (和順里)

태극면에는 화순리(和順), 송산리, 율지리, 풍전리, 태극리, 영창리가 있었다.

2. 9. 4. 송산리 (松山里)

태극면에는 송산(松山)이 있다.

2. 9. 5. 율지리 (栗枝里)

영원군 태극면에 속하며, 율지(栗枝)라는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2. 9. 6. 풍전리 (豊田里)

豊田里|풍전리중국어는 태극면에 속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